티스토리 뷰
목차
금융감독원에서 종신보험 가입 시 유의사항에 대해를 안내하고 있습니다.
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사이트 파인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주요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.
[목차여기]
1. 종신보험은 노후자금을 위한 저축성보험이 아닙니다.
□ 종신보험의 연금전환 기능만 보고 연금보험으로 잘못 생각하거나, 연금보험보다 종신보험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, 잘못된 사실입니다.
종신보험은 보험료에서 사망보험료 지급을 위한 위험보험료와 비용 및 수수료가 차감되어 적립되기에 10년 이상 납입하여도 적립금(해지환급금)은 납입한 보험료인 원금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연금전환 신청 시 종신보험을 해지하고 지급되는 해지환급금으로 연금을 지급하는데, 일반적으로 같은 보험료를 납입한 연금보험보다 적은 금액을 수령할 가능성이 큽니다.
일부는 보험료 추가납입기능을 보고 저축성 보험으로 생각하거나 저축성 보험보다 좋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.
- 보험료 추가납입기능: 기본보험료 2배 이내 보험기간 중 보험료를 추가로 납입하는 기능
종신보험은 기본보험료에서 높은 위험보험료 및 사업비(비용·수수료)가 차감되기에 추가납입보험료를 활용해도 환급률은 위험보험료와 사업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축성보험의 환급률을 초과하기 어렵습니다.
2. 저렴한 보험료인 정기보험도 고려하세요.
□ 사망보험은 가입 후 평생 동안 사망을 보장하는 종신보험과 일정기간 사망을 보장하는 정기보험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종신보험은 평생 동안 보험기간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기간이 길기 때문에 정기보험보다 보험료가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정기보험은 짧은 기간 동안 사망보장을 제공하지만 그 대신 보험료가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.
가입하고자 하는 보험의 목적과 상황에 맞게 종신보험과 정기보험을 꼼꼼히 비교하여 계약할 필요가 있습니다.
은퇴 전 사망으로 가족의 경제적 보상을 위해 가입하는 경우 보장기간이 짧고 보험료가 저렴한 정기보험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입니다.
3. 건강인 할인특약으로 보험료 할인받으세요.
□ 건강인 할인특약을 활용하여 높은 보험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
건강인 할인 특약은 보험회사에서 정한 건강상태 만족 시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제도입니다.
일반적으로 종신보험의 경우 보험료의 2% ~ 8%이며 정기보험은 6% ~ 38%의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.
특정 보험상품이나 보험회사의 경우 건강인 할인특약을 운영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입하기 전에 보험회사에 문의하거나 생명보험협회 공시실의 건강 관련 할인제도 공시 내용을 통해 할인율 및 건강상태 요건을 비교하여 상품을 선택하면 됩니다.
4. 저렴한 무해지/저해지 종신보험 가입도 고려하세요.
□ 보험료를 낮출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무해지 또는 저해지 환급형 종신보험을 가입하는 것입니다.
무해지/저해지 종신보험은 중도 해지할 경우 해지환급금을 지급되지 않거나 종신보험보다 낮은 해지환급금을 지급하는것이며 일반 종신보험보다 저렴한 특징이 있습니다.
보험을 중도 해지 하지 않고 유지하고자 한다면 종신보험보다 무해지/저해지 종신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므로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그러나 해지할 경우 해지환급금이 없거나 낮은 환급금을 돌려받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충분히 고려하여 가입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.
5. 일반 종신보험보다 CI 보험이 비쌉니다.
□ 사망보험금의 일부를 미리 지급하는 기능이 있는 CI보험이 종신보험보다 유리하다고 생각하나 사실이 아닙니다.
CI보험은 중대한 질병에 걸렸을 경우 사망보험금 일부를 미리 지급받아 치료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, 같은 사망보험금을 지급하는 종신보험보다 보험료가 약 30% ~ 40% 비쌉니다.
그리고 매우 심각한 질병이나 그로 인한 수술인 경우에만 사망보험금 일부가 지급되기에 보장범위가 제한적입니다.
CI보험 가입 시 가입목적과 상황을 고려하여 꼼꼼히 비교 후 가입을 결정해야 합니다.
자료 출처: 금융감독원 (http://www.fss.or.kr)
함께 보면 좋은 글
'국민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만 나이 통일법 - 만 나이 쉽게 계산하는 법 총정리 (0) | 2023.06.23 |
---|---|
금연두드림 신청대상 및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3.06.19 |
꿈나래 통장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3.06.15 |
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3.06.14 |
초중고 교육비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3.06.12 |